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교통혼잡료 수입 1억5900만불…3월에만 4500만불 거둬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폐지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시행 이후 첫 3개월 동안 약 1억6000만 달러의 수입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28일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에 따르면,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이 시작된 올해 1월 5일부터 3월 31일까지 1억5900만 달러를 징수했다.     앞서 지난 1월 한 달 동안 MTA는 교통혼잡료를 통해 4860만 달러를 징수했고, 2월에는 5190만 달러, 지난달에는 4500만 달러 수입을 올렸다.     MTA는 올해 말까지 총 5억 달러의 수입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은 혼잡 완화에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MTA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혼잡완화구역(CRZ)으로 진입한 차량은 전년 동기 대비 일평균 약 8만2000대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뉴욕주는 연방정부의 경고에도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뉴욕주를 향해 재차 경고하고 나섰다.     당초 교통부는 뉴욕주에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4월 20일까지 폐지하라고 명령했으나, 주정부가 이를 따르지 않자 이번에는 5월 21일까지 프로그램을 폐지하라고 재차 명령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교통혼잡료 수입 교통혼잡료 수입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가운데 교통혼잡료

2025-04-29

교통혼잡료 약 한 달…하루 차량 3만대 줄었다

뉴욕시에서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이 시행된 지 약 한 달이 가까워지는 가운데,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영향으로 맨해튼의 교통체증이 대폭 줄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는 지난 5일부터 맨해튼 60스트리트 남단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다.     MTA는 29일 이사회에서 "교통혼잡료가 시행된 이후 평일 약 55만3000대 차량이 중심상업지구(CBD)에 진입했다"며 "이는 최근 몇 년간 1월 일평균 CBD 진입차량 대수(58만3000대)보다 약 3만대가 줄어든 수준"이라고 밝혔다. 평일 낮에 맨해튼 혼잡 구역에 진입하는 차량이 최소 5%는 줄어든 셈이다. 여기에는 FDR드라이브와 웨스트하이웨이 통행량도 포함된 것으로, 이를 제외하면 맨해튼 진입 차량은 더 줄었을 것으로 보인다.   MTA는 이처럼 맨해튼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줄어들면서 교통체증도 완화되고, 부득이하게 차량을 이용해야 하는 사람들의 이동 시간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MTA에 따르면 홀랜드터널 러시아워 이동시간은 작년 1월에 비해 48% 줄었고, 윌리엄스버그브리지와 퀸즈보로브리지 모두 건널 때 소요되는 시간이 3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교통체증으로 악명높은 캐널스트리트 이동 시간도 27% 줄었다.     퀸즈·스태튼아일랜드·브롱스에서 출발하는 급행 버스노선을 이용하는 승객들도 평균 10분을 절약한 것으로 파악됐다. 재노 리버 MTA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교통체증이 완화하면서 일부 버스 노선은 더 빨라졌고, 이에 따라 버스 노선에 차량을 더 배치하는 것도 고려 중"이라고 밝혔다.     전철 이용객도 지난해 1월 대비 주중에는 7.3%, 주말에는 12% 증가했다.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 더글라스턴(26%), 뉴하이드파크(22%), 가든시티(19%), 론콘코마(18%)역에서 탑승하는 이용객 수도 지난해 1월 대비 일제히 증가세를 보였다.   한편 MTA는 아직 교통혼잡료로 인한 수입이 얼마인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교통혼잡료 수입액은 2월 말 공개할 예정이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교통혼잡료 차량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교통혼잡료 수입액 가운데 교통혼잡료

2025-01-3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